신생아의 소두증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카바이러스를 미리 예방해야 소두증에 대해 안전할수 있다. 지카 바이러스의 원인은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 이며 뎅기열 등의 전염병을 매개하는 아시아산 흰줄숲모기도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전파가 가능하다. 수혈로 인해 감염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지만 가능성은 높으며 성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된 사례는 있다. 지카 바이러스 증상은 감염된 모기에 물려 3~7일이 지나 증상이 시작되며 최대 잠복기는 2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관절통, 눈 충혈이 있다면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근육통, 두통, 안구통, 구토도 나타날 수 있다. 임신한 여성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두뇌가 성장하지 못하는 소두증에 걸린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다. 소두증 상태에서는 정신지체가 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한다.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대처법은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가 80% 정도이다. 증상은 대부분 가벼운 편이라고 한다.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서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완치 후 최소 1개월 동안은 헌혈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 중에 지카 바이러스 발생 국가에 다녀온 경우 여행에 돌아와서 2주 이내 발열, 발진, 관절염, 눈 충혈 등 지카 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진료를 받을 때는 여행을 다녀왔다는 것을 의료진에게 꼭 알려야 한다. 태아에게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야 한다. <담양소방서 옥과119안전센터 소방교 김은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