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랭이나 심리적 변화에 의해 손가락이나 발가락 혈관의 연축(순간적이 ㄴ자극으로 혈관이 오그라들었다가 다시 제 모습으로 이완되는 것)이 촉발되고 허혈 발작이나 피부 색조가 창백, 정색증, 발적의 변화를 보이면서 통증, 손발저림 등의 감각 변화가 동반되는 현상을 레이노 증후군 이라고 하는데 레이노 증후군의 원인은 기저질환의 유무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또는 특발성 레이노현상은 특별한 원인이나 기저질환이 없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이차성 레이노 현상으 ㄴ기저질환이나 유발 원인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레이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기저질환이나 기타의 원인으로는 전신성 경화증, 루푸스(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과 같은 교원섬유 질환, 죽상동맥 경화증과 같은 동맥 폐쇄성 질환, 폐동맥고혈압, 신경학적 질환, 혈액 질환, 진동 등에 의한 외상,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 등이 있다.
대개의 레이노 현상은 일차성 이지만 병언에 의뢰된 환자의 50% 이상은 기저질환이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다.
레이노 증후군의 증상은 손가락이나 발가락 혈관이 발작적으로 수축하고, 피가 잘 흐르지 않아 피부가 창백해지며 곧 청색증이 나타난다.
혈관수축은 자극이 시작된지 약 10분에서 15분 가량 지속된 후 풀린다.
그러면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색깔은 정상으로 돌아오고, 붉어지면서 얼룩덜룩 해진다. 이때 손발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도 있다.
레이노 현사으이 대개환자에서는 증사잉 매우 경미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안심할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한랭 노출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적 치료로 칼슘차단제, 알파차단제 드으이 혈관확장제를 사용할 수 있고, 약물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손, 발가락의 교감신경 차단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손, 발가락 궤약이 동반된 심한 레이노 현상에는 일로프로스트, 알프로스타딜, 림파프로스트 드으이 프로스타글란딘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손, 발가락 괴저가 발생한 경우는 수술적 절단이 필요하다.
레이노 현상은 일부 환자에게서 교우너섬유 질환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앞으로 설명한 기저 질환이 동발될 수 있으므로 뉴마티스 내과를 방물하여 이에 대한 검사(병력정취, 신체검사,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복용약물 등)를 해보아야 한다.
레이노 증후군의 예방법은 옷을 따뜻하게 입고 장갑과 양말을 착용하여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외부 스트레스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금연해야 한다.
그리고 레이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피해야 한다.
<담양소방서 옥과119안전센터 지방소방교 고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