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한 식사가 습관이 된 현대사회에서 모두 살아가면서 한 번 쯤은 복통과 속쓰림을 경험합니다. 위장 질환 중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과 속쓰림이 주요 증상인 위식도 역류질환은 어떤 병일까요?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주로 안쪽에 타는 듯한 증상이나 속쓰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가슴쓰림은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이고, 오목가슴부터 목으로 전파되고 누우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식도와 위는 하나의 관이 연결되어 있고, 하부식도 괄약근이 밸브 역할을 함으로써 위에서 식도로 음식물의 역류를 예방해 주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항역류장벽을 하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이 약화되면 위 내에 있는 위산이 역류하고 식도는 위산에 매우 취약하여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역류 증상은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인두로 역류하고, 시고 쓴맛을 호소하고 주로 누울 때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환자들은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소화가 되지 않고 잘 체하고 배가 답답하고 싸늘하다. 트림, 마른 기침이 자주 나오고 음식이 안 넘어가고 헛구역질이 나온다는 비전형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하지만 구토는 강한 복압을 동반하며 위에서 입으로 위에 있던 내용물이 분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증상은 기능성 소화불량이나 역류성 식도질환과는 다른 질환일 가능성이 높으며, 소화관 협착, 뇌질환 등을 의심해야 한다. 또한, 토혈, 혈변, 삼킴 시 곤란, 체중 감소, 식욕 감퇴도 기능적 원인보다는 기질적 원인을 찾아보아야 한다. 하지만 초기 위암은 증상이 거의 없고 속쓰림 정도만 있는 경우도 많아 증상만으로는 기능성 소화불량과 기질적 원인은 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생활습관의 개선 역시 중요하다. 먼저, 자극적인 음식은 피해야 한다. 술, 커피, 탄산음료, 튀긴 음식, 기름진 음식, 초콜릿 등의 음식물은 하부 식도 괄약근 압력을 낮추게 되어 역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이를 줄이거나 끊는 것이 좋다. 또한,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음식을 섭취한 후 바로 눕지 않아야 한다. 음주를 자제하고 금연하는 것도 위식도 역류질환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며, 비만환자 특히 복부비만은 역류질환의 위험인자이므로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담양소방서 장성119안전센터 소방장 김경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