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사고에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첫째 전기기기와 배선에 절연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노출하지 않도록 한다. 전기기기는 땅이나 수도관과 전선으로 연결(접지)해야 한다. 둘째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감전,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전기기기의 스위치 조작은 아무나 함부로 하지 않도록 한다. 셋째 젖은 손으로 전기기기를 만져서는 안된다. 넷째 수동 개폐기의 퓨즈로 동선이나 철사를 사용하면 매우 위험하므로 반드시 정격 퓨즈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자동개폐기(차단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정기적으로 테스트 한다. 불량제품이나 부분적으로 고장이 나있는 제품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여섯째 배선용 전선은 중간에 연결·접속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야외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알아두자. 비닐하우스, 간판, TV 안테나 등을 고치기 위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위에 전기선이 없는지 확인 후 작업에 임해야 한다. 주위에 전기선이 있으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한전에 연락, 안전조치를 받은 후 작업에 임해야 한다. 전기고장 수리 또는 어떠한 이유로도 전주에 올라가면 매우 위험하므로 절대로 전주에 올라가선 안된다. 벼락이 칠 때는 나무나 전주 바로 밑에 머물지 말고 최소 1∼2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며, 주위에 건물이 있으면 내부로 들어가 벼락이 멈출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제방이나 언덕, 바위와 같은 높은 곳에는 벼락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동굴이나 낮은 지대로 피해야 한다. 피할 곳이 없는 평지에서는 몸을 굽히고 다리를 오므리고 엎드려야 한다.
|
|
< 담양소방서 옥과119안전센터 지방소방장 유지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