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이용인구 약 1000만명, 본격적이니 행략철을 맞이하여 이용하는 사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에 따라 자전거로 인한 사고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로교통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겨울철에는 500여건이 발생했던 자전거 교통사고가 봄철이 되면 900건에서 1200건으로 두 배이상 높게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자전거 교통사고의 경우, 특히 교차로를 통행할 때 많이 발생한다. 때문에 자전거를 타고 교차로를 통행할 때는 반드시 일시정지하거나 또는 서행하면서 다른 차랴으이 운행상태를 꼭 확인하고 진행해야 한다.
교차로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를 건널 때도 자전거를 타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반드시 자전거에서 내려 자전거를 끌고 건너야 한다. 자전거를 타고 천천히만 가면 문제없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또한 자전거를 탈때, 복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자전거를 탈 때 반드시 챙겨야 하는 게 헬멧같은 안전장비이다.
도로교통법상 13세 미만 어린이는 인명보호장비 착용이 의무다. 하지만 성인의 경우 의무가 아니다보니 일부 전문적으로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 외에는 헬멧을 착용한 사람이 드물다. 개인보호장비는 필수이다. 그리고 보통 자전거와 사고가 난 가해 차량 운전자의 경우 전방을 주시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사고가 많다. 자전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눈에 띄는 밝은색 옷을 입고 운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야간에는 밝은색 옷을 입었다고 하더라도 눈에 띄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조등과 반사판을 자전거에 부착하여 운행 중이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요즘은 자전거에 핸드폰이나 내비게이션을 설치하여 운행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주행 중에는 조작하지 말고 반드시 안전한고셍 정차한 이후에 조작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담양소방서 방호구조과 예방홍보팀장 김유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