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에는 시야확보가 어렵고 노면이 미끄러워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최근 3년간 교통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연평균 발생건수와 사망자 수는 각각 0.6%, 1.7% 씩 감소했으나, 비 오는 날 교통사고는 각각 9.2%와 10.1%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100건 당 사망자수인 치사율의 경우에도 전체 교통사고는 3명인데 비해 비오는 날 교통사고는 3.6명으로 약 1.2배 높게 나타났다.
2007년 발생한 교통사고 중 비오는 날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2만704건으로 전체의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망자 수는 751명으로 12.2%를 차지하고 있다. 주·야별로 살펴보면, 비오는 날 주간의 교통사고 발생율은 36.9%(7,644건)이고 야간은 63.1%(1만3,060건)로 야간이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사율의 경우에는 주간이 3.7명, 야간이 3.6명으로 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야간 시간대인 오후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14%(2,906건)가 발생하여 가장 맣았고, 치사율의 경우에는 심야시간대인 오전 4시~6시 사이가 5.8명으로 비 오는 날 교통사고의 위험이 가장 높은 시간대로 분석됐다. 전체사고와 비교해보면, 비 오는 날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오후 6시부터 오전 6시 사이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가 많이 내리거나 짙은 안개가 끼었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켜서 상대방 운전자에게 내 차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담양소방서 옥과119 안전센터 소방위 박광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