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고 건조한 바람이 불면서 건조특보가 전 국적으로 발표되어 산불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장성119센터(서장 박병주)는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전국 대부분 지역 으로 건조특보가 확대됨에 따라 산불 등 피해 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산림 인접가구들은 사용하는 난방용 화기 에서 불이 산지로 옮겨 붙어 산불로 확대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등산로에서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발생할 수 있어 관계기 관에서는 산불조심 홍보, 현장계도 등 선제적 안전관리에 집중해야 한다.
장성119안전센터장은 “건조한 대기 영향으 로 발생할 수 있는 산불 등 피해 예방에 특별 히 유의해 줄 것을 부탁한다”며, “당분간 강 수예보가 없어 건조특보가 지속될 것으로 전 망되므로 가뭄에 대비한 물 절약 생활화가 필 요하다”고 당부했다.
산불방지 국민행동요령
* 출처 : 「산불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 산불예방 참여요령
· 산행 전에는 산림청 홈페이지, 네이버지 도 확인 또는 관할 시ㆍ군ㆍ국유림관리소 등 산림부서에 문의하셔서 입산통제, 등산로 폐 쇄 여부를 확인하고 산불 위험이 높은 통제지 역에는 산행을 하지 않는다.
· 입산 시에는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 을 소지하지 않는다.
· 취사를 하거나 모닥불을 피우는 행위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실시한다.
· 성묘, 무속행위로 불가피하게 불씨를 다 루어야 할 경우 반드시 간이 소방장비를 갖추 도록 한다.
·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소각해야 할 경 우 해당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고, 불씨가 산 림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미리 조치를 하고 소 각한다.
· 산림 또는 산림과 연접된 지역에서 담배 를 피우거나 불씨를 다루지 못하게 하고, 산 불조심을 당부한다.
· 산불원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즉시 경찰 혹은 산림관서 등에 신고한다.
□ 산행중 산불을 발견했을 경우 대처요령
· 산불 발견시 119, 산림관서, 경찰서로 신 고한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외투를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다.
·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 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 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 하게 주위를 확인하여 화세가 약한 곳으로 신 속히 대피한다.
· 대피장소는 타버린 연료지대, 저지대, 연 료가 없는 지역,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한다.
· 산불보다 높은 위치를 피하고 복사열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 엽, 나뭇가지 등 연료가 적은 곳을 골라 연소 물질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는다.
□ 주택가로 산불이 확산될 경우 대피요령
· 불씨가 집, 창고 등 시설물로 옮겨 붙지 못하도록 집 주위에 물을 뿌려주고, 문과 창 문을 닫고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 등 은 제거한다.
· 주민대피령이 발령되면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대피하되 대피장소는 산림에서 멀리 떨어진 논·밭, 학교 등 공터로 대피한다.
· 혹시 대피하지 않은 분이 있을 수 있으므 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상황을 알려준다.
□ 산불진화 참여요령
· 산림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평소 산불진화를 위한 간이 진화도구(괭이, 갈고리 등)와 안전장구 (안전복, 안전모, 안전 화)를 갖추도록 한다.
· 산불진화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건장한 젊 은 분은 진화활동에 참여한다.
· 산불진화에 참여할 경우 현장대책본부 의 지시를 받아서 조직적으로 진화활동을 수 행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