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기 화재는 전기장판, 가정용 보일러, 전기 히터, 난로, 환풍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일어납니다. 기기별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기장판
전기장판은 전체 실내에 난방하지 않아도 장판 위가 금방 따뜻해지므로 난방비 절약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집마다 한두 개씩은 있을 정도로 인기 있는 난방 기기 제품인데요. 겨울철이 되면 특히 전기장판 종류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는 뉴스가 많습니다. 전기장판 종류에서 집중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비밀은 전기장판을 접어서 사용하는 데 있습니다. 전기장판은 접거나 구겨서 보관했다가 다시 펼쳐서 사용하면 안 되는 제품입니다. 전기장판이 한 번 접히게 되면, 그 안에 있는 열선이 끊어질 수 있는데요. 겉에서 보기에는 열선이 끊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장판 위에는 이불을 겹쳐서 올려놓거나, 접어서 보관할 때 그 위에 무거운 물건들을 쌓아놓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러한 물건들이 전기장판이 불에 타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해서 더 큰 화재로 번질 수 있습니다. 국민안전처에 의하면, 전기장판 보관은 반듯하게 접는 것보다 돌돌 말아놓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하는데요. 사용하고 난 전기장판은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잘 털고, 콘센트에 연결하는 선이 엉키지 않도록 정돈하여 돌돌 말아서 보관해 놓아야 합니다.
2.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겨울철에는 평소 사용하던 전기 제품뿐만 아니라, 추가로 난방 기기를 여러 가지 연결해놓습니다. 이렇게 한꺼번에 난방기구들을 사용하게 되면 허용된 전류를 초과하는 과부하상태가 되는데요. 초과한 전류들이 열로 바뀌면 화재가 발생하게 됩니다. 문어발식으로 여러 개를 꽂아 놓은 콘센트 전선의 피복이 녹게 되면 전선끼리 서로 단락이 발생 돼서 전기 스파크가 생기고, 금세 화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화재를 막기 위해서는 되도록 허용 가능한 전류치 이하로 전력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하던 전기 콘센트에서 갑자기 스파크가 발생하고 불꽃이 생기면 당황하기 마련인데요. 이때는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전기 플러그부터 뽑고, 가정에 있는 소화기나 물을 이용해서 불을 끄면 됩니다. 걷잡을 수 없이 불이 크게 난 경우에는 바로 119에 신고하세요. 날이 점점 추워지면서 전기 난방기기 꺼내놓는 분들 많으시죠? 난방기기를 처음 사용할 때, 사용하고 난 뒤에는 전선을 꼬거나 묶어 놓지 말고, 가능한 한 반듯하게 펴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전기장판은 접거나, 무거운 물건을 올려두지 말 것! 콘센트에 문어발식으로 여러 가지를 꽂아두지 말 것! 또한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난방기기를 끄고 나가고, 전선을 반듯하게 펴서 사용하기! 사고가 나기 전 철저하게 예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담양소방서 옥과119안전센터 소방교 김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