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겨울은 겨울인지 봄인지 의심이 생길만큼 이상 고온현상으로 포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겨울철인 만큼 아침, 저녁으로 난방을 하지 않고 지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많은 난방기구들이 있지만 그 중 겨울철 화재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목보일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요즘 경제한파란 이유로 지방 및 도시인근, 농촌지역에서는 나무를 재료로 사용하거나 나무와 유류를 혼용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돼 난방비 절감효과를 고려한 화목보일러 사용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그에 따른 제품안전 및 사용자의 화재안전의식은 개선되지 않고 있어 그대로 취약점을 노출하고 있다.
화목보일러 관련화재로 인해 매년 재산 및 인명피해가 증가하여 연간 수십억에 달하는 재산 손실을 입은 것은 물론 귀중한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는 경우 도 많아 이에 대한 소방안전대책과 사용자의 안전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화목보일러 화재는 늦가을부터 겨울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보일러의 과열, 보일러 근처에 놓인 가연물, 기타원인 등 순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원인이 사용자들의 관리상 부주의가 원인임을 인식해 화재 없는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아래 안전수칙을 지켜 주길 당부하고자 한다.
첫째 화목보일러는 콘크리트 바닥이나 금속 같은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의 실에 설치하기.
둘째 보일러 주위에는 땔감용 재료와 나무 부스러기 등 가연물을 쌓아두지 말고 2미터 이상 이격거리 유지하기.
셋째 연통은 화기가 새어나올 구멍이 없어야하고 처마 및 지붕 등 건축물의 접촉면으로부터 충분한 이격을 두고 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판 설치하기 등이다.
넷째 보일러나 난로에 불을 지펴둔 상태로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일이 없도록 하기.
다섯째 보일러 주변에는 소화기를 비치해 유사시 즉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대부분 태우고 난 재를 그대로 버리거나 방치하게 되는데 이때 잿더미에 남은 불씨가 바람에 날려 주변 가연물이나 산불화재의 원인이 돨 수도 있다. 그러니 반드시 잿더미에 물을 뿌려 불씨를 제거하고 흙으로 덮어 불씨가 재 발화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확인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장소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전용 보일러실을 갖추지 않은 개방형 보일러는 '바람에 날리는 비닐이나, 종이 등 가연물‘이 몸통이나 연통에 들러붙은 후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도 있음을 인지하고 사용 중인 화목보일러 등 난방기구에 대한 안전점검을 지금 바로 실시하여 화재로부터 우리가정 안전을 확보하자.
삼계119안전센터 김성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