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 곤란 증후군의 원인은 심한 외상 등 많은 조직 손상, 여러 가지 원인의 쇼크, 심부전증, 위 내용물의 기도 흡입, 패혈증, 수혈 부작용, 폐혈전증, 양수 색전증, 소모성 혈액 응고 장애, 급성 췌장염 등이 있습니다. 양수 색전증은 진통이나 분만 중 및 분만 직후에 잘 생기며 위 내용물의 기도 흡입은 마취 시작할 때와 깨어날 때 위험합니다.
호흡곤란 증상은 약한 것부터 심하여 환자가 금방 죽는 정도까지 다양한데 심한 환자가 많습니다. 심하면 숨이 가빠서 쩔쩔매며 산소가 모자라서 새파랗게 청색증이 생기고 맥박이 빠르고 혈압이 떨어져서 위험합니다. 이런 증후군의 진단은 증상, 가슴 방사선 사진, 원인 되는 병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하는데 확진이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 계통에 이상이 있는지도 잘 찾아야 합니다. 치료는 산소를 주고 혈압을 유지하는 등 대증적 치료와 원인을 찾아서 없애는 것입니다.
<담양소방서 옥과119안전센터 소방교 곽권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