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중풍 혹은 뇌혈관질환이라고도 불리는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갑자기 뇌 손상이 오고 이에 따른 신체장애, 언어장애, 의식장애, 인지기능장애 등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사망원인 중 세 번째로 많은 원인을 차지할 뿐 아니라 심한 신체적 후유증을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사회 전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중 가장 주요한 위험인자는 고혈압입니다. 뇌졸중을 예방하는 방법은 혈관이 막히지 않도록 하거나 혈관이 터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먼저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졸중을 허혈 뇌졸중이라고 하며 전체 뇌졸중의 80%를 차지합니다. 혈관이 막히는 대부분의 원인은 혈전입니다. 즉 응고된 혈액 덩어리가 혈관을 막아서 발생합니다. 혈전은 왜 생길까요? 혈전은 심장질환이나 혈관질환이 있을 때 잘 생깁니다. 두 번째로 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졸중을 출혈 뇌졸중이라고 하며 전체 뇌졸중의 20% 정도를 차지 압니다. 혈관이 터지는 과정은 혈관벽의 일부가 얇아져 그 부분이 풍선처럼 꽈리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며 얇아져 혈압이 순간적으로 올라 압이 증가할 때 터져 발생합니다. 뇌졸중을 예방하는 방법은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즉 고혈압을 적극적으로 치료한다. 심장병을 치료한다. 뇌졸중 환자의 25%는 심장병이 있습니다. 뇌졸중에 걸리지 않으려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들을 숙지하고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흡연, 음주,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습니다. <담양소방서 장성119안전센터 소방장 김경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