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 봄
난방기구의 사용이 가장 높은 겨울철에 화재가 많을 것이라 생각하기 쉅지만, 국민안전처 통계에 의하면 지난 2015년에 발생한 전체 화재 중 물 32.8%가 봄철에 발생한 사고였다고 합니다. 봄은 가장 습도가 낮기도 하고, 야유회나 봄소풍 등 잦은 야외 활동이 있는 계절이기 때문에 화재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또, 쓰레기 불법 소각이나 담배꽁초 투기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도 2월부터 급격히 늘어난다는 국가화재통계자료의 분석도 있었습니다.
화재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게절인 만큼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과 올바른 소화기 사용법을 잘 숙지해야겠습니다.
건조한 환경으로 불씨가 붙기 쉽고, 세게 부는 바람으로 인해 불이 번지기도 쉬운 봄. 최고의
대처는 역시 예방이겠죠. 어떻게 하면 봄철 화재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산에서는 반드시 금연해주세요. 무심코 했던 담배꽁초 투기가 큰 산불로까지 번질 수 있습니다. 입산 시에 성냥, 담배 등 인화성 물질을 아예 소지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집 근처에서 쓰레기를 태우지 마세요. 바람에 불씨가 날려 다른 건물이나 나무에 옮겨 붙으면 막대한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산림 근처에서 소각을 해야 한다면 해당 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으세요.
어린이들에게 ‘불’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해 주시고, 불장난은 단순히 장난이 아닌 무섭고 위험한 행동이라는 것을 숙지시켜주세요.
초기 화재사고를 진압할 때 사용하는 소화기 소화기는 사용방법, 들어있는 약품에 따라 종류가 다른데요. 크게 일반 분말소화기와 K급 소화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 분말소화기는 A, B, C급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기입니다. A, B, C 알파벳은 어떤 종류의 화재가 일어났을 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거랍니다. 소화기 보유 시 어떤 화재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ABC 분말소화기를 보유 하시는게 좋습니다.
A 소화기는 종이, 플라스틱, 목재, 섬유 등 B 소화기는 석유, 등유 등 C 소화기는 전기화재, 전기기계로 인한 화재로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물체를 소화해야 하는 화재 K급 소화기는 동식물성 유지 등의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기입니다. 식용유 등의 기름으로 인한 화재는 발화점과 끊는 점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아서 일반소화기로 점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소화기 사용법은 우선 불이 난 지점으로 간 후 소화기의 안전핀 위치를 확인한 후 에 안전핀을 힘껏 뽑고 바람을 등진 상태로 소화기 호스를 불이 난 곳으로 향하게 잡아줍니다. 손잡이를 꽉 잡고 불을 향해 빗자루로 쓸 듯이 소화액을 분사해주시면 됩니다.
예방만큼 중요한 것이 초기 진압입니다. 소화기 사용법을 잘 알아둔다면 큰 재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담양소방서 장성119안전센터 소방위 김성모>